[컴퓨터 고장에 대처 하는 법] (2018.06 수정판)
박재영 2016-06-07 2242
[컴퓨터 고장에 대처 하는 법] (2018.06 수정판).hwp

[컴퓨터 고장에 대처 하는 법] (2018.06 수정판)   - 동일 내용의 '첨부 파일'이 있으니 이를 다운받아 보셔도 됨-

윈도우 10 업그레이드에 대해

무료 업그레이드 프로모션 기간이 종료 된지 2년이 지났지만 아직 윈도우10 무료 업그레이드의 기회가 있다.

(참고: http://amorfati-1000.tistory.com/40에서 윈도우10 무료 업그레이드 설치 파일을 구할 수 있다.)

-------------------------------------------------------------------------------

윈도우 10 무료 업그레이드 기간이 2016.07.26까지 이므로, 자신이 사용하는 전자챠트 프로그램이

윈도우 10으로 업그레이드해도 상관없는 지 관련 회사와 상의한 후, 미리 업그레이드 해 두는 게 좋을 것이다.

이때, 기존에 사용하던 장치(프린터나 LAN카드, 그래픽, PACS )의 장치 드라이버가 win10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지 꼭 확인해 봐야 한다. 만약, 이 장치들의 윈도우10용 드라이버가 있다면 이걸 설치해야 하며, 윈도우 10

용 드라이버가 없거나 설치가 제대로 안되면 이 장치들을 사용하지 못할 수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또한 윈도우 10은 보안 설정이 강화되었으므로, 방화벽과 네트워크 설정에도 주의해야 하며, 전자챠트에 이용되는

프로그램이 방화벽(윈도우 방화벽)에 차단되지 않도록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보험공단 요양기관 보안프로그램인 AOS(Ahnlab Online Security 안철수 연구소 보안 프로그램)의 보안

수준 설정은 최소로 하여, 전자챠트에 이용되는 프로그램이 AOS 방화벽에 차단되지 않도록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

2012.06월 이 사이트에 올렸던 [컴퓨터 고장에 대처 하는 법]-내용을 2018.06(현재)에 맞게 수정하였다.

일부 내용이 윈도우 xp에서 윈도우 7, 8, 10에 맞게 수정되었으며, 백업 하드디스크와 백업 컴퓨터 만드는 법에

대한 내용이 수정되었다. 아래 내용은 (개인 의원에서) 컴퓨터와 전자청구 프로그램 사용 중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본원의 대처법 소개이다.

 

참고로 본원의 경우 진료실 컴에는 SSD 하드디스크(120GB)에 윈도우 10이 설치되었고 의사랑 서버(SQL 서버)가 있으며,

별도의 일반 하드디스크(1T 용량)에 의사랑 자료가 있다. 접수실 컴에는 SSD하드(120GB)만 있으며 윈도우 10이 설치되었다.

SSD는 빠르게 부팅하기 위해 사용했으며 진료자료가 보관되는 하드는 SSD 하드가 아닌 일반 하드디스크를 사용했다.

그 이유는 SSD 하드 가격이 비싸기도 하지만 손상되면(깨지는 경우) 일반 하드에 비해 복구하기도 힘들기 때문이다.

- 이하 본문 이 글 내용을 첨부 파일로 올렸으며, 필요시 다운 받아 보시기 바람.

 

[컴퓨터 고장에 대처 하는 법] (2018.06 수정판)

본원에서는 고장에 대비해 백업용 컴퓨터(서버용) 외에 백업용 부팅 하드디스크(진료실컴, 접수실컴)

(네트워크) 공유기, 처방전발행용 프린터를 예비해 두고 있으며, 마우스, 키보드 등 소모품도 준비해 두고 있다.

-(요약)-

컴퓨터 고장이나 전자챠트 프로그램 사용 도중, 문제가 발생되면 비용을 지불하고 A/S 받을 수는 있다.

하지만 갑작스런 컴퓨터 고장으로 컴퓨터가 말썽부리면 병원(의원)업무가 당장 마비되고,

이를 복구하는 데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이런 응급 상황에 대비하는 방법을 알아 두면 좋을 것이다.

1. (전자챠트용 서버 등) 컴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백업 hard를 준비해 두자.(백업용 부팅 하드디스크 준비)

2. (기계 고장에 대비한) 백업용 컴퓨터 준비-(특히 서버) 컴퓨터가 고장 났을 때를 대비하자.

3. 시스템 백업과 주요 자료 full 백업은 6개월 마다 해 주고, 하드 디스크는 4~5년 마다 교체해주는 것이 좋다.

참고로 하드 수명은 최대 5~6년 정도다. MB(mother board=main보드)를 교체할 때는 기존 컴에 사용하던

장치(캡쳐카드, 카드결제용 port, PACS )와 잘 연결되는 것인지 확인하고 구입해야 한다.

4. 컴퓨터 바이러스 백신을 구입하여 컴 virus에 대비한다. 또한 인터넷 사용 시 정체불명의 메일은 열어보지

말고, 신뢰할 만한 사이트가 아니면 클릭(접속)하지 말아야 한다.

5. 컴퓨터 사용 중 발생되는 문제에 대해, 응급처치 또는 문제 예방법과, 컴 문제의 해결법에 대해 알아 두고,

컴퓨터 사용 시 발생하는 문제에 대비하여 관련 연락처를 미리 메모(파악)해 둔다.

: -본체, 프린터= xx. ~X119 등 연락처  / 청구PG 고객센터=           , 담당자 전번=

6.공단인증서는 C:Program FilesNPKIKICAUSER 있으므로 필요시 이것도 백업해 둔다.

참고로 공단인증서 업데이트 후 저장되어 있는 곳은 C:userAppDataLocalLowNPKIKICAUSER 이다.

필요시 최신 update된 자료를 C:Program FilesNPKIKICAUSER 방에 복사해 줘야 한다.

 

현재 대부분의 의원에서 사용하는 전자챠트는 고장이 났을 때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만약, 컴퓨터가 켜지지 않는다면 환자 정보를 볼 수 없고(소위 챠트를 찾을 수 없고), 진료는 물론 처방전 발행, 수납도 할

수 없게 된다. 한마디로 병원(의원)업무가 당장 마비된다.

따라서 이러한 당황스러운 상황에 대처하는 방법을 알아 두면 좋을 것이다.

 

컴퓨터에 저장된 진료 자료는 수시로 백업(저장)을 해 두어 만약의 사태에 대비한다. 최악의 경우 최종 백업한

자료라도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진료 자료) 백업은 하루 1~2번 하도록 전자 프로그램에서 설정할 수 있을 것이며, 백업할

저장 장소로는 주로 하드디스크가 이용되지만 외장 하드나 USB에도 백업(저장)이 가능하다.

진료 자료를 백업할 때 같은 컴퓨터에 설치된 하드디스크에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네트워크에 있는 다른 컴퓨터나

외장하드에 저장하는 것이 좋다.(참고 속담: 계란을 한 바구니 담지 않는다! 

 

* 설명내용은 윈도우 win10을 기저로 했으나 윈도우 7, 8도 비슷하므로 설명 내용(개념)만 이해하면 된다.

윈도우 XP는 더 이상 upgrade 안되며, 보안 문제 등으로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

A.컴퓨터 관련 용어 몇 가지:

(단축용어 컴=컴퓨터를 이라고 생략해서 말하는 수도 있으며, Program 프로그램을 PG, pg로 생략함)

Booting : 컴퓨터를 운영하는 프로그램(OS operating system-대개 윈도우)(작동,구동)시키는 것.

          흔히 부팅을 윈도우를 띄운다라고 함.

CMOS : 컴퓨터의 mother board(주기판) 속에 있는 반도체 칩으로 컴퓨터가 처음 켜질 때 이 정보를 참고한다.

         컴퓨터 CMOS로 들어가는 방법은 컴퓨터(MB 메인보드)마다 다를 수 있지만 컴을 켜고 보통은

         del (삼성,HP 컴 등 Award 보드에서는 F2)를 계속 여러 번 치면 CMOS 화면이 나온다.

         사용자가 컴퓨터 내의 하드디스크의 부팅 순서나 기계 장치에 대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BIOS setup에서 BOOT 선택 후 부팅할 하드디스크(대개 Master booting Hard disk로 부팅 )

         설정을 할 수 있다. (참고로 SSD 하드로 부팅하는 경우 대개 ACHI 모드로 부팅함!)

         MB(메인보드)에 따라 다르지만, CMOS에서 대개 IDE 방식의 master1M or PM, slave   

         2S or PS 로 표시되고, SATA 방식 연결 port가 두개 있을 경우 첫 번째 SATA1 P1 or 1S

         두 번째 SATA2 P2 or 2S로 표시된다. 이런 표시와 함께 하드디스크의 명칭이 표시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 P1-SSD850 EVO 120GB, P2-WDC WD10EALS, 3M-ST3320620AS)

CPU : 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연산처리 장치. 사람으로 치면 두뇌에 해당 됨.

       컴 내부나 SW의 작업 처리에 필요한 계산이나 기계 제어 명령 등을 처리하는 장치로,

       이것의 성능이 좋으면(속도가 빠르면) 전산 처리 속도가 빨라진다.

Graphic card : 컴에서 모니터로 영상 신호를 보내는 연결부로 영상을 보여 주는 데 필요한 판형 구조물(card).

(참고로 최신 MB는 통합보드로 Graphic card, LAN card 가 따로 없고 MB에 통합되어 있다.)

HDD :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컴의 자료를 담아 두는 장소(창고), 도서관으로 말하면 서고에 해당하며,

       전원이 나가더라도 저장된 자료는 남아 있다.

       충격에 약하므로 떨어뜨리지 말고, 자석에 민감하므로 강한 자기장 근처에 두지 말아야 한다.

HW : Hardware 기계 자체 (: MB, HDD, graphic card, LAN card )

MB : 주기판(Main board, Mother board)으로 HDD, graphic card, LAN card 등이 여기에 연결됨.

       최신 MB(주기판)에는 LAN card, Sound 기능, Graphic(영상) 기능이 MB에 통합되어 있다(통합 보드).

LAN card: Local area Network.  LAN 연결선으로 근처(가까운) 컴의 LAN 과 연결되는 장치이다

             과거엔 따로 만들어졌으나, 최근에는 Graphic card와 함께 LAN card MB에 통합되어 있다.

PG : Program 프로그램. software 소프트웨어라고도 한다.

     : 아래아 한글, 그림그리기 프로그램, 전자챠트 프로그램, explorer, I-explorer, 미디어플레이어 등

RAM : Random Access Memory. 전원이 끊어지면 없어지는 (휘발성) 메모리. 학생들의 책상 역할이다.

      책상 위에다 교과서나 참고서를 펴 놓고 보기도 하고, 그림 그리기, 글쓰기 작업 등을 하는 것 처럼

      컴퓨터에서 일 처리하는 작업공간(메모리)이다. 전원이 끊어지면 작업하던 내용은 사라진다.

ROM : Read Only Memory. 읽을 수만 있는 기억 장치로, CMOS에선 컴퓨터가 켜질 때 컴 HW 관련  내용을

       불러 옴.

SATA: SATA(Serial AT Attachment 직렬 ATA)는 하드 디스크 혹은 광학 드라이브의 데이터 전송 cable.

SW : software 프로그램. 아래아 한글, excel, 전자챠트 등이 그 예이며, 컴퓨터가 켜지는 데 필요한 SW

     OS(operating system-대개 윈도우 임)라 한다.

 --------------------------------------------------------------------------

B.컴퓨터가 켜지지 않는 경우.

B-1. 기계 자체 또는 연결이 잘못 된 경우 (Hardware 고장)

전원 코드가 빠지거나 전원 연결이 끊겨 전원 공급이 안 되는 경우가 의외로 많다.

printer cable이 연결이 잘못되면 인쇄기가 작동되지 않을 것이다.

 

컴퓨터 내부의 그래픽 카드, RAM, 하드디스크 등을 잘못 꽂았다거나, 컴퓨터 내부에 먼지가 끼어 기계가 열을 받는 경우에

작동이 안 되는 수가 있다. CPU 쿨링팬에 먼지가 끼어 있으면 컴퓨터가 느려진다. 이럴 경우 연결 부위를 제대로 꽉

끼워 보거나 먼지 청소를 하면 문제가 해결되기도 한다. 컴퓨터의 HW(MB 메인보드, 그래픽 카드, RAM, 하드디스크 등)

고장, 컴 내부의 콘덴서가 터지거나 저항이 타 버린 경우 또는 컴퓨터 fan 불량(CPU , 환기팬 불량)인 경우에는 컴퓨터

수리 점에 A/S(수리)를 맡기거나 새로운 제품으로 교체해야 한다.

 

모니터용 전원 연결이 안 되었거나 신호 cable연결이 안된 경우 컴퓨터는 켜지지만 화면이 안 나온다.

참고로  Cable not connected 란 에러메시지가 떴을 때는 모니터만 켜지고 컴퓨터가 켜지지 않았거나,

컴퓨터와 모니터의 연결 잭이 연결 안 되어서 이다.

컴과 모니터 둘 다 정상인데 화면 안 보이는 경우 모니터에 달린 source 버튼이 잘못 눌러졌을 수도 있다.

(: 삼성 Black LED 모니터인 경우)

 

컴퓨터와 모니터가 작동은 하지만(기계 고장은 없지만) 윈도우가 뜨지 않을 때.

CMOS에서 부팅하려는 하드로 제대로 설정됐는지, 부팅하려는 하드가 MB에 제대로 연결되어 있는지,

부팅하려는 하드에 OS(윈도우)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B-2. software (프로그램) 설정 잘못에 의한 고장

컴퓨터 바이러스 백신을 구입하여 컴 virus에 대비한다. 또한 인터넷 사용 시 정체불명의 메일은 열어보지 말고,

신뢰할 만한 사이트가 아니면 클릭(접속)하지 않는다. 최근 랜섬웨어가 유행이니, 인터넷 접속시 유의해야 한다.

CMOS에서 부팅하려는 하드로 제대로 설정됐는지, 부팅하려는 하드가 MB에 제대로 연결되어 있는지, 부팅하려는

하드에 OS(윈도우)가 설치되어 있는지 다시 한 번 확인한다.  

 

1.OS(윈도우) 설치 결함이나 바이러스 또는 드라이버 프로그램(software) 설정 잘못(:그래픽card 설정 착오)으로 컴퓨터

부팅(윈도우가 구동)이 안 될 수가 있다. 필요시 safe mode(F8)로 부팅하여 문제를 해결해 보고, 최악의 경우 윈도우를 다시

설치해야 할 수도 있다.

 

2.부팅이 아예 안 되거나, 화면이 나오지만 security(보안)에 걸려 무언가를 update하라고 나오고 윈도우 부팅 안 될 때는

윈도우 시작 프로그램이 깨졌거나 바이러스 먹은 경우이므로 Safe 모드로 부팅해서 문제를 해결하거나 다른 하드디스크

(백업, 복구 하드디스크)로 부팅하여야 한다.

 

3.윈도시스템 동작이 느려진 느낌이면(컴퓨터가 느려지면) 작업 중인 프로그램을 [닫기]하고, 다시 log in

해서 사용해 보거나, ‘다시 시작을 해 본다. 만약,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이상이 있으면 공유기를 껐다가 다시 켜 보거나

 (원장실, 접수실)컴퓨터 둘 다 껐다가 다시 켜면 컴 속도가 개선되는 수가 있다.

참고로 윈도우 시스템이 엉기는 경우 컴 반응(속도)이 느려 질 수가 있는데, 이럴 경우 시간 여유를 두고 윈도우 파일 시스템

점검(chkdsk)을 시켜 본다.

 

chkdsk 명령 사용법: 실행창에서 cmd 입력 후 chkdsk [d]: /f/r 참고: [d]drive

chkdsk 도움말 보기: chkdsk /?

: 실행창에서 cmd 입력 후 d 드라이브를 점검하려 할 때 chkdsk d:/f/r 를 입력한다.

참고로 c 드라이브를 점검하려고 chkdsk c:/f/r 를 시행하면, 다음 부팅할 때 c 드라이브를 점검하게 된다.

 

4.컴퓨터가 느려지는 다른 원인 중 컴퓨터 내부의 방열(열 발산)이 안 되는 경우에는, 컴퓨터 먼지 제거나 내부 청소를 하면 좋다.

또한 바이러스나 adware, 레지스트리 엉김 등이 원인인 경우. 바이러스나 adware는 바이러스 검사 치료 프로그램을 돌리고,

 레지스트리 엉김이나 드라이브 설정 에러 등은 이지클린이나 ’CCleaner‘으로 정리해 두면 좋을 것이다.

* 6개월 마다 컴퓨터 내부(CPU 쿨러, 변압기 fan ) 먼지 청소!-헌 칫솔 or 브러시, 진공청소기, DR-70 사용

--------------------------------------------------------------------------

C.컴퓨터가 멈춰버렸다(꼼짝도 안한다)

C-1. 컴퓨터가 locking 먹통(down)되었다. 마우스나 키보드가 작동을 안 하는 것 같다.

컴이 locking 먹통(down)되어 실행중인 프로그램 [닫기]가 안되거나, [다시 시작]을 할 수 없으면 Alt-Del-Ctrl 를 동시에 눌러

 작업관리자에서 문제가 되는 프로그램을 작업 종료(E)하거나, login을 다시 해보거나 [다시시작]한다. 만약, Alt-Del-Ctrl로도

전혀 반응이 없으면 reset 버튼으로 컴퓨터를 강제로 다시 부팅시켜야 한다.

만약, reset 버튼도 안 먹히면 전원(power) 스위치를 강제로 끄는 수밖에 없다.


C-2. 강제 부팅을 해야 하는 경우.

1.키보드나 마우스가 전혀 반응이 없으면 reset 버튼으로 컴퓨터를 강제로 다시 부팅(reset) 시켜본다.

  reset 버튼이 작동 안 되면 전원 스위치를 껐다가 다시 켠다.

2. 컴을 강제 껐다가 새로 켜면 컴퓨터 시스템 보결성(consistency) 검사 화면=[디스크검사] 화면이 나오며,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A2-1. 윈도우 7, 8, 10에서는 다음 내용(메세지)이 나온다.

디스크 검사를 생략하려면 아무키나 누르고~ 어쩌고저쩌고라고 뜨는데, 보결성 검사를 생략하려면

아무 키나 누른다. 보결성 검사를 진행하려면 그냥 잠시 기다린다.

A2-2. 만약 대기 환자가 많다면 보결성 검사 화면에서, 수 초내 바로 아무 키를 눌러 검사를 생략할 수 있다.

A2-3. , 보결성 검사를 생략 했다면, 시간이 날 때 컴퓨터를 [다시시작]하여 보결성 검사를 해 줘야 한다.

(1T 용량의 하드인 경우 약 5분 정도 소요됨)

 

B2-1. 윈도우 XP 버전에서는 연하늘색 화면이 나오며, 아래 내용(메세지)이 나온다.

     Checking file system on C:

     The type of the file system is NTFS

     One of your disk needs to be checked for consistency.

     어쩌구저쩌구 ...

 

  시스템 보결성 검사 내용 중 파티션 형식에 따라 NTFS 대신 Fat32로 표시되기도 한다.

 

B2-2. 그런데 시스템 보결성 검사 작업에 시간이 다소 걸리므로, 이 과정을 일단 생략하고 

   윈도우를 바로 띄우려면 연하늘색 화면에서 바로(수 초 이내) space bar를 눌러 건너 뛸 수 있다.

 B2-3. , 보결성 검사를 생략 했다면, 시간이 날 때 컴퓨터를 [다시시작]하여 보결성 검사를 해 줘야 한다.

--------------------------------------------------------------------------

D.컴퓨터 HW 고장으로 기존 컴퓨터를 사용할 수 없을 때

참고로 시스템 백업과 주요 자료 full 백업은 6개월 마다 해 주고, 하드 디스크는 4~5년 마다 교체 해 주는 것이

컴퓨터 하드웨어 고장에 대비하는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참고로 하드 수명은 최대 5~6년 정도다.

MB(mother board=main보드) 교체 할 때는 기존 컴에 사용하던 연결 장치(캡쳐카드, 카드결제용 port, PACS

)와 잘 연결되는 것인지 확인하고 구입해야 한다.

 

경고: 아래 설명 예는 본원의 실제 상황으로, 진료실 컴이 서버이며, D drive에 의사랑 2000 자료(의사랑DB)

       설치한  상태에서의 설명이다. 따라서, 각자 하드디스크 설정에 따라 하드디스크 이름이 다를 수 있으며,

       전자챠트 프로그램  설정에 따라 data용 하드디스크 위치가 D드라이브가 아닐 수도 있다.

       또한, 내용에 착오가 있을 수 있으며, 이 내용에 따라 실제 적용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책임까지 지는 것은

       아니므로  실제 사용에 관한 책임은 독자의 몫이다. 또한 혹시 모를 원상태 복원에 필요한 백업은 필수이다.

 

* 설명내용은 윈도우 10을 기저로 했으나 win7,8도 비슷한 개념이므로, 설명 내용(개념)만 이해하면 됨.

본원의 경우 진료실 컴은 윈도우 10 사용하며 하드디스크 C, D가 있는데, 하드디스크 C에 의사랑 서버가 있고 하드디스크 D

의사랑 자료가 있음. 접수실 컴은 하드디스크 C만 있고 윈도우 10 사용 중임.

 

D-1. 컴퓨터 HW 고장 시 대처법

1. 컴퓨터가 켜지긴 하나 부팅 하드디스크 이상으로 부팅이 안 되면, 백업 부팅 하드디스크로 교체한다.

  1.컴퓨터의 겉 뚜껑을 열고 기존 부팅 하드디스크 대신에, 기존 하드 디스크의 설정과 동일한 하드

    디스크(백업 하드디스크)가 있다면 (준비해 둔) 백업 부팅 하드디스크로 부팅한다.

가장 알기 쉬운 것은 부팅 디스크(본원처럼 동일 용량의 SSD 하드디스크)를 복제해 두고 사용하는 것이다.

참고로 부팅 하드디스크와 기존 하드가 같은 방식이면, 기존 하드를 빼고 그 자리에 백업용 부팅 하드 디스

크를 연결한다.(: 기존 하드의 Sata용 줄 2개를 빼고 백업 하드를 Sata 줄과 각각 연결)

 주의: 서버 컴퓨터의 부팅 디스크를 변경했거나 백업용 컴으로 바꿨을 때는,

       마지막 입력했던 진료 자료가 있나 확인할 것!

  2.BIOS setup에서 Boot Priority(또는 부팅할 하드) 지정보통 CMOS에서 Achi mode, window manager 보임.

대개 1st Boot Priority(대개 window manager 나 부팅할 하드디스크를 지정)

CMOS 설정을 수정, 변경했으면 CMOS 설정을 저장(대개 F10)한 다음 다시 부팅한다.

  3. 만약 재부팅이 안되면 CMOS 설정 재확인한다.(, CMOS에서 Boot Priority or 우선 부팅 하드 지정 확인)

 

D-2, 컴퓨터가 power 고장으로 아예 켜지지 않는다.

이때는 고장 난 컴퓨터 대신에 (준비해 둔)백업용 컴퓨터를 기존 컴퓨터 자리에 교체 설치한다.

(준비해 둔)백업 컴퓨터는 가능하면 최근에 백업된 것이면 더 좋을 것이며 부팅 가능해야 한다.

컴퓨터에 꼭 연결되어야 하는 것은 마우스, 키보드, LAN, 그래픽 잭(모니터와 연결)이다.

printer도 필요하다면 연결해 주어야 하지만, 스피커 연결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 서버 컴퓨터(대개 원장 컴이 서버 컴퓨터)를 교체하였을 경우

  고장난 컴에서 진료 자료가 있던 D drive 하드디스크(대개 의사랑 DB 등 진료 자료는 D에 있음)를 떼어내어

새로 사용할 백업 컴퓨터의 D drive에 연결 한다.(참고로 SATA는 줄 구분 없이 연결할 수 있다.)

주의: 서버 컴퓨터의 부팅 디스크를 변경했거나 백업용 컴으로 바꿨을 때는,

         마지막 입력했던 진료 자료가 있나 확인할 것!

 

의사랑 하드가 제대로 설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의사랑 DB를 연결할 수 없다면,

[PC] 또는 [내컴퓨터]-우측마우스-관리-[디스크관리]에서 의사랑 하드가 D드라이브인지 확인한다.

만약 이미 다른 것이 D드라이브로 되어 있다면 그 놈을 다른 FG로 바꿔 주고 의사랑 하드를 D 드라이브로

설정해 준다.(참고: 의사랑 SQL 서버 실행시 의사랑 DBD:로 지정했을 경우의 설명임)

대부분의 병원에서는 C 드라이브에 윈도우를 설치하고, D:드라이브에 (의사랑 등) 진료 자료를 보관할 것이다.

--------------------------------------------------------------------------

E-1. 백업 부팅 하드디스크 만들어 두기

경고: 아래 설명 예는 본원의 실제 상황으로, 진료실 컴이 서버이며, D drive에 의사랑 2000 자료(의사랑DB)

       설치한  상태에서의 설명이다. 따라서, 각자 하드디스크 설정에 따라 하드디스크 이름이 다를 수 있으며,

       전자챠트 프로그램  설정에 따라 data용 하드디스크 위치가 D드라이브가 아닐 수도 있다.

       또한, 내용에 착오가 있을 수 있으며, 이 내용에 따라 실제 적용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책임까지 지는 것은

       아니므로  실제 사용에 관한 책임은 독자의 몫이다. 또한 혹시 모를 원상태 복원에 필요한 백업은 필수이다.

 

주의사항!!

하드디스크 clone 복제나 고스크 복사로 백업 하드를 만들게 되면, 원본의 자료는 그대로 있지만, 백업 하드에 있던

기존 자료(내용)는 없어지므로 백업 하드의 내용이 지워져도 되는 것인지 잘 확인할 필요가 있다.

--------------------------------------------------------------------------

백업 부팅 하드디스크 만들기

부팅  컴퓨터가 고장 났을 때 기존 부팅 하드디스크 대신에, 기존 하드 디스크의 설정과 동일한

부팅 하드디스크(백업 하드디스크)가 있다면 (준비해 둔) 백업 부팅 하드디스크로 부팅할 수 있다.

백업 디스크를 만드는 작업을 하기 전, 선행 작업으로 기존 하드디스크에 대해 (‘이지클린사용하여) 레지스트리 정리

chkdsk 으로 파일시스템 정리를 해두면, 깔끔한 백업 하드디스크를 만드는 데 있어 더 좋을 것이다.

 

기존 하드디스크의 설정과 똑같은 설정(드라이버 설정, 프로그램의 레지스트리 설정 등)을 백업해 두려면

과거 사용하였던 고스트 프로그램도 유용하지만, 요즘은 디스크 복제 프로그램인 Macrium Reflect(추천)가 유용하며, 보다

간편한 하드디스크 복제(Clone) 장치 기계(추천)도 있다.

 

Macrium Reflect 프로그램은 무료로 사용법도 알기 쉽다. 윈도우 창에서 아주 쉽게 작업 지정(설정)할 수 있다.

아래 프로그램 다운로드 링크(주소) 클릭하면 Macrium Reflect Free프로그램을 다운 받을 수 있다.

만약 링크 클릭(연결이) 안되면, 윈도우 주소창에 http://www.macrium.com/reflectfree.aspx를 입력!

프로그램 다운로드 : http://www.macrium.com/reflectfree.aspx (추천)

홈페이지 http://www.macrium.com/

Macrium Reflect 프로그램 사용 방법에 대해 알아 보려면 아래 링크(개인 블로그) 클릭한다.

Macrium Reflect Free 무료 이미지백업 및 복원/클론... (추천)

혹시 위 링크가 연결 안되면 ‘Macrium Reflect 사용법으로 비슷한 내용을 검색한다.

 

하드디스크 도킹스테이션(clone 복제기) -(추천)-
 

(추천) 하드디스크 도킹스테이션(clone 복제기) : 상품명 Dataclone3.0 가격: 30000원 대.

         약 15분이면 120GB 용량의 SSDclone 복제된다.

 

하드디스크 복제(Clone) 장치 기계로는 시중에 몇 개 있는데 가격이 그리 비싸지 않으며, 컴퓨터 연결이 필요없

고 버턴만 누르면 하드디스크가 복제되어 편리하다. SATA 형식의 하드디스크(SSD, 일반 하드)clone 복제가

가능하며, 외장형 하드 장치로도 사용할 수 있다. SSD와 일반 하드의 교차 clone 복사도 서로 가능하다.

다만, 복제되어질 하드디스크 용량이 원본 하드디스크보다 작으면 복제가 불가능하다.

--------------------------------------------------------------------------

clone 복사가 잘 되었다면 clone 복사된 하드(백업된 하드디스크)를 기존 부팅하드 대신 연결하여, 잘 부팅되나

반드시 확인해 본다.

 

참고로, clone 복제된 하드디스크는 원본과 쌍둥이이기 때문에 두 개의 하드를 동시에 한 컴퓨터에 연결하면,

윈도우 상에서 부팅디스크는 드라이브 C:로 설정되어 있고 부팅 하드가 아닌 다른 하드는 드라이브가 지정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다.

--------------------------------------------------------------------------

E-2. 고스트 프로그램

고스트 프로그램에는 Nortonoriginal제품, oneKey Ghost, snoopy ghost 등이 있는데 관련 고스트 백업 프로그램의

사용법이나 주의사항 등은 아래 링크 들을 참고하거나 관련 프로그램의 매뉴얼을 참고하기 바람.

백업 복구(OneKey Ghost Y6.3) 고스트 사용법

고스트를 이용한 백업/복구

스누피 고스트 프로그램(win7까지)

 

고스트 프로그램 사용 시 주의할 점:

(준비 및 주의사항)

고스트 pg이 담긴 부팅 디스크(CD)를 준비해(만들어) 둬야 하며, 고스트 PG을 실제 사용시 컴퓨터 CMOS설정

에서 우선 부팅 순위(1st  Booting priority ,1st  booting)CDDVD로 지정해 줘야 한다.

 

1. (경고)고스트 작업 중 restore작업은 작업 대상 하드디스크(destination hard disk)의 파티션과 file  system

   ​등을 삭제 변형 시키므로, 작업 대상(destination) 하드 디스크에 있던 기존 자료는 없어진다.

2. (특히 초심자들은) 반드시 실제 사용 중이 아닌 예비 하드디스크 (, 자료가 지워져도 되는

   예비 하드디스크)를 이용하여 restore작업(백업 하드디스크 만드는 작업)을 연습, 숙지하기 바람.

3. [백업 하드디스크 만들기] 작업할 때는 만약을 대비해서 중요 자료(: 진료 자료)

   반드시 다른 장소(USB나 다른 외장 하드 디스크)에 먼저 백업을 해 둬야 한다.(중요 자료 백업 필수!!)

 

고스트 프로그램의 작업(사용법) 간략한 소개 -상세한 과정이나 절차는 해당 프로그램의 설명서 참고!

1.기존 서버로 사용하던 컴(: 원장 컴)의 부팅 에러에 대비하기 위한 하드디스크를 백업하려면...

 하드디스크 중 부팅에 필요한 자료는 대개 C drive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정상인 부팅 컴(: 원장컴)

 C drive의 하드 디스크를 미리 고스트 백업해 둔다. (고스트 프로그램 사용 시 주의할 점: (경고) 참고)

 이 때 백업 받는 장소(하드 디스크)는 기존 컴의 하드디스크 D drive에 해도 무방하다.

 참고로 고스트 백업이 끝난 후 xxx.gho 파일이 생기며, 이 파일이 ghost 복구에 사용된다.

2.고스트 CD로 부팅후 고스트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이 xxx.gho 파일을 새로운 (예비) 하드디스크에 restore

시키면 소위 복제 하드디스크가 만들어진다. , 기존 하드디스크와 똑같은 하드디스크(쌍둥이 HDD)  

 만들어진다 기존 하드디스크와 똑 같은 driver 설정과 program 들이 복제 하드디스크에 실리게 된 것이다.

  

따라서, 기존 백업된 내용이 부팅 가능한 하드디스크였다면, restore된 하드디스크도 부팅이 가능하다.

 restore복제 하드디스크로 잘 부팅되는 지 꼭 확인해 봐야 한다.

 이렇데 만들어진 백업 하드디스크는 기존 컴이 부팅이 안 될 때, restore된 부팅용 하드디스크로 대체하여

사용하게 하게 된다.

---------------------------------------------------------------------------------

F. 백업 부팅 하드디스크를 새로운 컴에다 만들기

1. 기존 컴퓨터가 아닌 다른 컴퓨터(other computer)clone 복제된 하드 등 백업된 부팅용 하드디스크를

   만들 수도 있다. 이때는 새 컴퓨터(other computer)에 맞는 driver 설치 등이 필요할 수도 있다.

2. 이렇게 만들어진 새 컴퓨터(other computer)는 기존 컴퓨터가 고장(전원이 안 켜지거나, 본체 고장 등)나서

   기존 컴퓨터를 새 컴퓨터로 대체할 때 유용하다.

2. 이때 소위 서버 컴으로 사용할 수도 있는 데, 시스템 복원 후 사용에 문제가 없나 미리 시험해 봐야 한다,   

  , 서버컴을 복원한 후에는 진료 자료가 있는 하드디스크(db 자료)를 연결해서 최종(진료)자료를 확인한다.

 

--------------------------------------------------------------------------

G. CMOS 설정에 문제가 없고 원장컴 다시 켜서 의사랑 PG 실행되었지만, 의사랑 db 연결 못한다는 에러가

나오면, 의사랑 하드가 제대로 연결되어 있나 확인하다. 의사랑 하드가 제대로 연결되었지만 의사랑 DB

연결할 수 없다면, [PC] 또는 [내컴퓨터]-우측마우스-관리-[디스크관리]에서 의사랑 하드가 D드라이브인지 

확인한다. 만약 이미 다른 것이 D드라이브로 되어 있다면 그 놈을 다른 FG로 바꿔 주고 의사랑 하드를

D 드라이브로 설정해 준다. (참고: 의사랑 SQL 서버 실행시 의사랑 DBD:로 지정)

의사랑 자료 하드디스크를 D로 지정한 후에도 연결 안되면, [시작] 보턴-log off 한 후 다시 [log in]하거나

컴퓨터를 다시 부팅시켜 본다.

 

H. 백업한지 오래 된 백업(복제) 하드디스크를 처음 사용할 경우, 첫 부팅 후 여러 프로그램의 최근 update

(: 바이러스 프로그램 update )를 위한 작업이 있을 수도 있다는 것도 알아 둔다.

 

I. 의사랑 서버의 실행과 중지(Shut down 시키는 법)

 

대부분의 의원에서는 의사랑 SQL 서버 실행시 의사랑 DBD:로 지정할 것이다. 이 경우 의사랑 DB

D:ysr2000database 방에 있다.(YSR2000.DB YSR2000.log)

) SQL2012_Server.exe 실행될 때 D:YSR2000databaseysr2000.db 로 지정됨(본원의 경우)

실제:

D:ysr2000EXESQL2012_Server.exe -ch 200M -n YSR2000 -x tcpip D:YSR2000databaseysr2000.db

 

의사랑 서버를 중지(Shut down 시키는 법) 및 다시 시작(기동) 시키는 법

의사랑db 자료를 USB나 다른 하드에 복사하려면, SQL2012_Server.exe를 중지한 후 이 파일을 복사할 수 있다.

SQL2012_Server.exe를 중지 시키려면 작업표시줄에 있는 SQL2012_Server.exe 아이콘에 마우스 우측 버턴

누른 후 Shut down “ysr2000” 눌러 SQL2012_Server.exe(의사랑 SQL 서버)강제 종료 시켜야 한다.

의사랑 서버를 다시 시작하려면, 다시 login하거나 컴을 다시 시작하면 SQL2012_Server.exe가 다시 기동된다.

 

J. 공단인증서의 위치

공단인증서는 C:Program FilesNPKIKICAUSER 에 있으므로 필요시 이것도 백업해 둔다.

참고로 공단인증서 업데이트 후 저장되어 있는 곳은 C:UsersuserAppDataLocalLowNPKIKICAUSER

이다. 필요시 최신 update된 자료를 C:Program FilesNPKIKICAUSER 방에 복사해 줘야 한다.

 

K. 참고로 의사랑 프로그램사용자들은 아래 링크를 클릭하면 의사랑 관련 자료를 볼 수 있다.

    닥플 안에 만들어 놓은 커뮤니티(의사랑 청구 프로그램 관련 카페)로 가입하지 않아도 내용 열람이    

    가능하다바로가기 의사랑사용자 모임 <= 요걸 클릭

주요  내용:   

1. 의사랑 설치, 사용에 관한 내용

2. PG 사용 관련 tip

   (사용자 입장에서 편리하게 입력 할 수 있는 code 만드는 법, 묶음 처방 만드는 법)

3.질문과 답변

4.기타 네트워크 설정법 등 이 들어 있다.

 

= =

김기홍 내부에서 수정이 안되네요 2013-08-22 15:3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