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이 연결되지 않았다'고 뜰 때의 조치법
박재영(119.204.149.12) 2016-11-28 2749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았다고 뜰 때의 조치법.hwp

(동일내용의 첨부 파일 있음)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았다'고 뜰 때의 조치법      최종수정 2016.11.24

A. 기본 응급조치

1.일단 인터넷선 들어오는 LAN(: KT 인터넷)이 공유기의 WAN에 잘 연결되어 있나 확인한다.

공유기의 powerWAN 표시등이 표시되나 보고, 컴퓨터 뒤 랜선 연결부에 불이 표시되는 지 확인한다.

 

2.컴퓨터가 공유기를 통해서 인터넷에 연결된다고 가정할 때, 다른 컴에서는 인터넷이 되고 문제 컴에서 인터 넷이 안 된다면 KT 문제는 아니다. 이때는 문제되는 컴퓨터 쪽과 공유기 쪽의 LAN선을 뺐다 다시 잘 끼워 본다. 이렇게 해서도 안 되면, 공유기를 껐다 켜면서 해당 컴퓨터도 껐다 다시 켜 본다.

 

3.만약 공유기 power가 고장이면 power adaptor를 바꾸거나 다른 공유기로 교체한다. 교체시에는 KT 인터넷

LAN선은 공유기의 WAN에 연결하고, 공유기의 나머지 port는 해당 컴에 연결되는 곳에 다시 연결해 준다.

참고:의사랑pg의 진료실 컴은 LAN1, 접수실 컴은 LAN2 EKG(cardionet)LAN3, 부원장 컴은 LAN4이다.

 

4.모든 LAN 선이 정상 연결인데 공유기의 WAN표시등(인터넷 표시등)만 깜빡이지 않는다면, 인터넷 연결이

안 되는 것이므로 인터넷 회사(KT )에 고장 신고(연락)해야 할 것이다.

공유기의 인터넷 표시등(WAN표시등)이 정상인데도 인터넷 연결이 안 되면 해당 컴퓨터의 LAN 카드 고장이 거나 LAN card 설정이 깨졌을 경우이다. LAN 카드 고장이 아니라면 해당 LAN card 드라이버 즉 LAN card 설치 프로그램을 다시 설치해야 할 것이다.

 

5.LAN card 설치 드라이버(소프트웨어)가 정상 설치되었음에도 인터넷이 안 될 경우 다음 B. C.과정을 실행 하여 본다. 이 과정은 특히 고정 IP를 쓰는 경우 유용한 tip이다.

6.만약, 고정 IP가 아니라면 자동으로 IP 받기로 설정하면 인터넷이 연결될 것이다.

 

B. 고정 IP(전자챠트pg 사용하는 경우 대개 고정 IP 사용)를 쓰는 경우 LAN card IP를 저장(보관)해 둔다.

1. 컴퓨터 모니터의 하단 우측 네트워크 아이콘에 마우스-우클릭하여 네트워크 공유센터열기클릭한다.

2. 좌측 상단 어댑터설정 변경 클릭-로컬영역(or 네트워크이름 예:이더넷)에서 마우스-우클릭 속성 클릭

3. 인터넷프로토콜 버전4(TCP/IP4)클릭 후 IP 주소와 DNS 주소를 스마트폰으로 사진으로 찍어 두던지

해당 숫자를 메모 해 둔다. (나중에 컴 재부팅 후 IP 재입력 할 때 똑같은 숫자로 입력하기 위함)

4. 참고로 의사랑 서버 컴(대개 원장 컴)의 경우 IP 192.168.0.1 서브넷마스크 255. 255. 255 0 이며,

접수실 컴의 경우 IP 192.168.0.2 서브넷마스크 255. 255. 255 0 이다.

5. 그리고 기본 게이트웨이는 192.168.0. x (x는 적당한 숫자 예: 9 또는 253 )이며

DNS 서버는 인터넷 서버 주소(:KT올레 168.126.63.1)이다. 참고: 이 둘은 원장 컴이나 접수실 컴 동일.

 

C. 컴퓨터가 LAN card를 제대로 인식을 못할 경우 [내컴퓨터] or [PC]에서 제거 후 재인식 시킨다.

1. 바탕화면의 [내컴퓨터] or [pc]에 마우스-우클릭하여 속성클릭- 좌측 상단의 장치관리자클릭.

참고로 바탕화면에서 [내컴퓨터] or [pc] 가 안 보이는 경우 이를 보이게 하려면,

바탕화면에서 마우스-우클릭하여 개인설정-‘속성클릭하거나 [제어판]에서 개인설정 클릭하여

바탕화면 아이콘 변경에서 [내컴퓨터] or [pc]의 체크 박스에 v check 해 준다.

2. ‘장치관리자에서 [네트워크어댑터] 클릭->이미 설치된 랜카드 컨트롤러(:Realtek PCI~ controller)

보이는데 마우스-우클릭하여 제거하고 컴퓨터를 다시 부팅한다.

3. 컴이 재부팅되면 컴에 설치된 랜카드가 자동 인식되며, LAN card 드라이버 프로그램이 자동 설치된다.

만약, 해당 랜카드 설치 pg이 자동 설치되지 않으면 해당 드라이버 프로그램을 찾아 설치해 줘야 한다.

4. 해당 랜카드 드라이버 프로그램이 설치되면, B.고정 IP를 쓰는 경우 LAN card IP 저장(보관)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memo한 내용(스마트폰 찍은 내용) 대로 IP 주소, DNS 숫자를 입력해 준 다음 컴을 재부팅!

주의: 메모해 둔 숫자와 똑같이 입력해야 전자챠트와 인터넷이 실행될 것이다.

만약, ‘자동으로 IP 받기로 설정하면 인터넷만 되고 전자챠트는 실행되지 않는다.

5. 컴퓨터가 LAN card를 제대로 인식을 못할 경우는 매우 드물지만, 갑작스런 정전이나 컴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어 공유기 할당 IP가 깨져(IP 설정 정보를 잃어)버렸기 때문이다.

-끝-

양만석 원격진료 제외한 협상안은 이원표 회장님이 더 잘아실것이고, 원격진료는 이전에는 국회논의에서 민주당만 쳐다 보아야 하는 입장에서, 3.10 파업으로 판을 흔들어 민주당도 함부로 의협동의없이 deal 을 할수 없을것으로 보이며, 시범사업까지 나온마당에 2차 협의안에 쉽게 거부 표를 던지지 어려운 상황으로 보입니다. 시범사업할때 의협과 내개협이 관여하는 방법을 택해야 할것 같습니다. 2014-03-17 14:54:00
이원표 시범사업에 의협은 공동 수행(노회장님 말은 실제로는 의협이 주관)을 하는 주체의 하나이니당연하고... 의협에서 수행하는데 내개협을 빼고 진행할 수는 없겠지요. 다만 우려되는 바는 의협이 주관하고, 실제로는 가급적 질질 끌고, 부정적인 결과가 나오도록 노력하더라도 시일을 못박아 놓으면 무한정 질질 끌기가 쉽지 않을 수 있습니다. 게다가 만의 하나 결과가 긍정적으로 나온다면, 의료계의 반대도 힘을 잃고, 야당도 반대할 명분이 약화됩니다. 또한 이 발표를 듣는 회원들의 생각과 걱정/반발도 우려되구요. 2014-03-17 15:28:00
이원표 그렇다고 위의 우려를 이유로 협상안 전체를 거부하기도 곤란하니 고민이지요. 결국 이 이유로 2자 파업으로 들어가자고 하는 주장을 해야 하니까요. 2014-03-17 15:29:00
박붕연 협상내용을 읽어보니 많은 걸 얻어냈고 앞으로도 개선 될 가능성을 많이 열어두었다고 느껴집니다.선시범사업 후 법개정은 우리가 주장해왔던 사항이니 만큼 결과가 긍정적으로 나오더라도 어쩔수 없지 않을까요? 결과야 어떤관점에서 보느냐에 따라 달라질수있으니까 하나 하나 꼼꼼하게 준비해서 따져가며 의사들의 자존심을 회복시키는데 최선을 다 해야겠지요. 저는 지역 모임 있을때 마다 협상 쪽으로 이야기 합니다. 그쪽이 소리없이 더 많은 걸 얻어낼수 있을 것 같으니까요. 2014-03-17 18:04:00
백효종 몇 년전에 대구에서 한 원격진료 시범사업은 고혈압 당뇨병 등은 경비 많이 들고 효과없는 것으로 나왔습니다. 비만치료만 결과 좋은것으로 나왔는데 이는 진찰이란 계념이 덜 한거라 생각됩니다, 이번 시범사업도 의협이랑 내개협이 잘 공조하고 항상 우리가 깨어있으면 같은 결과가 나오리라 생각합니다. 회장님 수고 많으십니다. 2014-03-17 18:05:00